미국의 사회 심리학자 스탠리 밀그램은 하버드 대학교 재직 중 '작은 세상 현상을, 예일대학교 재직 중에는 '복종 실험'으로도 불리는 밀그램 실험을 수행해 대항한 사회적 파문을 일으켰다.
밀그램 실험 (Milgram Experimsnt) dms 1956년 예일 대학교의 심리학과 교수 스탠리 밀그램(Stan let Mil tram)이 실시한, 권위에 대한 복종에 관한 실험이다. 밀그램은 권위에 대한 복종을 연구하던 중, 사람들이 파괴적인 권위에 굴복하는 이유가 성격보다 상황에 있다고 믿고, 굉장히 설득력 있는 상황이 생기면 아무리 이성적인 사람이라도 윤리적, 도덕적인 규칙을 무시하고 명령에 따라 잔혹한 행위를 저지를 수 있다고 주장했다. 밀그램은 "징벌에 의한 학습효과"를 측정하는 실험에 참여할 사람을 모집하고 피실험자들을 선생과 학생으로 나누었다. 그리고 선생 역할과 학생 역할의 피실험자를 각각 1명씩 그룹을 지어 실험을 실시했다. 학생 역할의 피실험자를 의자에 묶고 양쪽에 전기 충격 장치를 연결했다. 그리고 선생님이 학생에게 문제를 내고 학생이 틀리면 선생님이 학생에게 전기 충격을 줄 수 있도록 했다. 그러나 사실 학생 역할의 피실험자는 배우였으며, 전기 충격 장치도 가짜였다.
밀그램 실험의 과정
선생님 역할을 맡은 피실험자들이 전압을 올리기를 거부할 때마다 실험자들은 미리 준비해둔 4가지의 대사를 차례대로 읊었다.
*1. 계속 진행해주십시오.
*2. 실험을 위해서는 계속 진행해야만 합니다.
*3. 계속 진행해 주셔야만 합니다.
*4. 당신에게는 이것 외의 다른 선택지가 없습니다.
밀그램 실험의 목적
이 실험의 목적은 "징벌에 의한 학습효과"가 아닌 "권위에 대한 복종"에 대한 실험이었다. 먼저 "징벌에 의한 학습효과":에 대한 실험이라고 공고하여 4.50달러를 대가로 20대에서 50대의 남자 피실험자 40명을 모은 뒤 각각 선생과 학생 역할로 나누었다. 그러나 사실 학생 역할의 피실험자는 배우였다. 실험자는 선생 역할의 피실험자에게는 학생에게 테스트할 문제를, 학생 역할의 배우에게는 암기할 단어를 제시했다. 그리고 선생에게 학생들을 테스트한 후 학생이 문제를 틀릴 때마다 15 볼트부터 시작하여 450 볼트까지 한 번에 15 볼트씩의 전기 충격을 가하라고 지시했다. 밀그램이 주시했던 것은 선생들이 전압을 높여가는 과정에서 어떤 태도를 보이는가였다. 밀그램은 고작 4.50달러의 대가로 선생들이 과연 15 볼트에서 450 볼트까지 전압을 높일 것인지에 대해 관찰했다. 실험자는 흰색 가운을 입고 전압을 올릴지 말지 고민하는 사람들에게 '실험의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며 전압을 올릴 것을 강요했다.
밀그램 실험의 결과
실험을 시작하기 전 밀그램은 4.5달러를 받는 대가로 피실험자들이 450 볼트까지 전압을 올릴 것이라고 생각하지 않았다. 밀그램은 0.1% 정도의 사람들이 450 볼트까지 전압을 올릴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65%의 피실험자가 450 볼트까지 전압을 올리는 충격적인 실험 결과를 보였다. 이 실험은 1971년의 필립 잠바도르 감옥 실험까지 확대되었다. 밀그램의 실험은 피실험자들에게 심리적 외상을 줄 수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이를 미리 알리는지 알았다는 이유로 윤리적으로 많은 비판을 받았고, 결국 대학에서 해임되고 말았다. 그러나 이후 시행된 유사한 실험 중 2006년 밀그램의 실험이 실험 윤리강령을 준수하도록 수정과정을 거친 재실험이 젤리 버거 박사에 의해 수행되었다. 결과는 밀그램의 실험이 80% 초기반응을 보인 데 이어 버거의 실험은 70%의 경력한 수준을 유지함을 보고하였다. 또한 이러한 실험이 윤리강령을 지킴에도 불구하고 밀그램 실험의 결과를 여전히 지지하는 실험 결과는 사회 압력이 주는 사회적 영향력이 시사하는 바가 매우 크다.
작은 세상 현상
작은 세상 현상 6단계 분리 이론 개념은 미국에서 지인의 연결고리를 추적하는 1967년의 밀그램의 '작은 세상 실험'에서 시작되었다. 실험에서는, 밀그램이 몇 개의 소포를 네브래스카 오마하에 사는 사람 가운데 무작위적으로 선택한 160명에게 보내고, 최종 목적인 매사추세츠 보스턴의 증권 중개인과 더 가까울 것 같은 지인에게 소포를 전달해 달라고 요청했다. 밀그램의 6단계 분리 이론은 심각하게 비판받았다. 그는 많은 소포를 추적하지 않았고, 그 결과, 과학자들은 "6단계" 분리 이론의 존재 자체를 의심하였다.
'심리학 > 심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용어: 성격 측정_직접 관찰법, 면접, 성격 질문지 (0) | 2022.09.06 |
---|---|
심리학 용어_ 파블로프의 개 실험(고전적 조건형성 사례_조건형성과 학습 (0) | 2022.09.01 |
심리학 용어 _칵테일 파티 효과 (cocktail party effect) (0) | 2022.08.20 |
심리학 용어_ 루시퍼 이펙트, 루치펠 효과 (스탠퍼드 감옥실험) (0) | 2022.08.19 |
심리학 용어_바넘효과(barnum effect),포러효과(forer effect)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