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의식의 개념은 오스트리아의 신경학자이며 동시에 정신분석학의 문을 연 지그문트 프로이트에 의해 대중에게 널리 알려졌다.
무의식(無意識, 독일어: Unbewusste, 영어: unconsciousness) 또는 '미의식'(non conscious)은 자신(self)과 주위(environment)에 스스로 뚜렷한 인식이 없는 상태로 다시 말해, 자신이 인지하지 못하는 두뇌의 활동이며 생각하는 과정, 기억, 동기 등이 없이 자동으로 발생하거나 작동할 수 있는 심리적, 정신적 작용이다. 무의식의 영역을 간단한 표현으로 「무의식(독:Unbewusste, 영:the unconscious)」이라고도 부른다. 여기서 말하는 무의식은, 의식되지 않은 마음 unconscious mind 등과는 다른 개념이다.
정신분석학 학문적 이론에서 무의식적 작용은 꿈이나 농담 등을 통해 직접적으로 나타난다. 프로이트가 제창한 정신분석학이나 카를 융이 제창한 분석심리학에서 무의식은 “마음속의 의식이 아닌 영역”이다.
뇌신경과학 같은 비정 신분 석학적 학문에서는 무의식적 활동이란 의식적 자각에 전적으로 따르지 않는 정신적 활동을 가리키는 말로써 사용하며 이 경우 이를 '미의식'(non conscious process)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한다. 정신분석학에서 말하는 것 같은 별개의 영역으로서의 무의식 개념이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따위의 이론을 전제로 이루어지는 것과 달리 신경과학이나 인지심리학 등에서의 비의 식(무의식)은 그러한 이론과는 달리 경험적이고 과학적인 연구 데이터에 기반하여 다루어야 할 대상으로 본다. 예컨대 인지과학 연구자들은 사람이 의식적 사고를 통해서 얻는 정보보다 더 많은 정보를 의식적 자각 바깥에서 자동적, 비의도적으로 획득할 수 있음을 밝혀냈으며 이러한 것의 주요한 예로 자동적 사고의 무의식적 작용이 언급된다
한편 일부에서는 정신분석학적인 무의식의 존재 자체에 대해서는 의심받기도 한다. 에리히 프롬은 정신분석학 자이지만 프로이트에서 유래한 의미의 무의식을 부정했으며, 모리스 메를로퐁티 같은 현상학자들은 무의식도 "수동적 의식"으로서 결국 의식의 연장이라고 생각한다
심층심리학 이론과 무의식
프로이트의 억압하는 무의식 심층심리학의 이론 대표라고도 말할 수 있는 지그문트 프로이트가 제시한 정신 분석학에선, 무의식 중에 억압의 구조를 가정해 발병한다고 하여, 그 치료법의 이론을 전개했다. (비판: 「억압하는 무의식」은 실증할 수 없다). 또, 정신 분석의 이론 응용으로는 개인의 「양심」, 사회의 「도덕」의 기원을, 무의식의 억압 구조의 문화적인 작용으로서 설명했다.
예를 들면 버릇이나 일견 우발적으로 보이는 실언에 대해, 본인은 후에 설명을 시도(합리화)하지만, 객관적으로 앞뒤가 맞지 않는 경우도 많이 있기 때문인 거기에 개인적인 억압 구조를 볼 수 있다고 했다. 이것은 융의 언어 연상법에도 계승해지고 있다. 융의 자기실현의 무의식 분석심리학을 제창한 카를 융은, 「자아인 나」가 「왜 나인가」를 물었다. 「나인 의미」는, 영혼의 완전성, 원구 적 완전성의 실현에 있다고 생각했다. 무의식은, 자아를 자기(제르 프스트) 즉 「신」으로 높여 가는 구조를 가진다고 가정했다. (비판: 「신으로 자신을 높이는 무의식의 구조」는 실증할 수 없다. 그러나, 「융의 기본 이론」과「융의 사상」은 나눠 생각하지 않으면 안 된다. 융의 이론은 반증 가능성을 가지지 않고, 현대적인 범주로의 과학으로서는, 성립되지 않는다). 분석심리학은, 「신화의 의미」, 「죽음과 삶의 의미」 등을 사상적으로 해명하는데 유효했다. 융 자신은, 과학이론으로서 신중하게 이론을 구성했지만, 그것은 표층 구조에 대해, 용이하게, 종교나 오컬트에 전용할 수 있는 이론이었다.
광의의 무의식
「의식이 아닌 영역」에 관해서는, 여러 가지 해석하고 있다. 최면상태로의 의식 상태나, 종교적인 의식이나 약물 복용으로 생기는 「변성 의식」 등도, 통상의 의식이 아닌 상태이다. 또, 이러한 광의의 변성 의식 등의 그 밖에, 잠재의식 등의 「의식이 아닌 상태·영역」을 생각되어 왔다. 「의식이 아닌 영역」의 존재는 확실하다고 해도, 주관적으로 파악되는 그러한 영역에 대한 객관적인 기술이나 설명을 실시할 수 있는가 하면 곤란하다. 프로이트나 융의 이론의 「무의식」은, 그들이 이론적으로 상정한 구조의 존재는, 결과적으로 실증되지 않는 것이 판명되었지만, 20세기 전반에 태어난, 이러한 「무의식의 개념」은, 문화적으로 큰 영향을 준 것도 사실이며, 사상이나 예술에 현재도 아직 영향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무한정에 무의식을 말하는 것은, 개개인의 주관적인 파악이 되어, 또 트랜스 퍼스널 심리학의 무의식도 그렇지만, 너무나 가설적 요소의 큰 무의식은, 실증성이 더욱더 곤란하고, 의문이 된다. 잠재의식도, 무엇을 의미하는 개념인가, 불확정 요소가 너무 많다.
'심리학 > 심리학 기초'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심리학_ 오이디푸스 콤플렉스 (0) | 2022.08.12 |
---|---|
심리학 06 무의식 - 의식과 무의식의 존재 (0) | 2022.08.12 |
심리학의 역사3) 행동주의, 인본주의, 인지주의 심리학 (0) | 2022.08.12 |
심리학 4) - 심리학 연구방법론 (0) | 2022.08.12 |
심리학의 역사 2) 게슈탈트 형태주의 심리학, 프로이트 정신분석 심리학 (0) | 2022.07.2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