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부조화는 내가 본 것이 실제 발생한 것과 다르다는 의미이다. 이렇게 본 것과 실제 발생한 것 사이에 차이가 생기면 사람들은 불편함을 느낀다. 그리고 이러한 불편함을 없애려고 이 둘 중 하나를 바꾸려고 한다. 하지만 실제 일어난 일은 시간을 되돌리지 않는 바꿀 수 없다. 그래서 자신의 생각을 바꾸곤 한다. 근본 된 잘못을 바로 하기보다 생각을 바꾸어 버리는 것이다.
심리학에서 말하는 인지 부조화는 2가지 이상의 반대되는 생각, 가치, 믿음 또는 이미 가지고 있던 것과 반대되는 새 정보를 받아들일 때 여기에서 발생하는 차이에 의해 개인이 받는 정신적 스트레스나 불편한 경험 등을 이야기한다. 불일치 상태를 겪고 있는 개인은 심리적으로 불편해질 것이며, 불일치를 줄이고자 하거나, 불일치를 증가시키는 행동을 피할 것이다. 개인이 이러한 인지 부조화를 겪을 때 공격적, 합리화, 퇴행, 고착, 체념과 같은 증상을 보인다.
-인지부조화 이론
인지부조화는 자기 행동, 태도 등이 서로 모순되어 양립할 수 없다고 느끼는 불균형 상태를 가리키며 이러한 흐름에서 인지부조화 이론은 사람들이 자신의 태도와 행동 등이 서로 모순되어 함께 할 수 없는 불균형의 상태가 되었을 때, 이러한 상황을 해소하기 위해서 자신의 태도(인지)를 바꾸어 조화 상태를 유지하려 한다는 주장이다. 이를 자기 합리화라고 한다.
-인지부조화의 강도
서로 반대되는 인지와 행동으로부터 오는 부조화의 정도는 인지의 중요성, 인지의 비중 이 2가지 요인에 주로 달려있다. 인지의 중요성은 더 중요한 가치에 중점을 두고, 그에 따른 부조화의 강도 또한 커진다며 인지의 비중은 불일치하는 요소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인지부조화를 감소시키는 방법
개인이 자기 경험과 현실 사이에서 일치된 상태를 추구할 것이라는 가정으로 시작되었다. 이 이유로 사람들은 그들의 인지나 행동을 다른 것과 일치시키기 위해 불일치를 해소하려고 할 것이다. 이러한 노력은 사람들에게 긴장과 스트레스를 줄여준다. 예를 들어 한 사람이 더 이상 흡연하지 않겠다고 다짐했다고 생각해 보자. 그러나 유혹을 이기지 못하고 담배 한 개비를 폈다. 이때 부조화를 줄이기 위해
1. 행동을 바꾼다 ( 더 이상 흡연을 하지 않는다 )
2. 인지를 바꾼다 정당화한다. ( 한 번에 끊을 수 없으니 조금씩 담배를 피워도 괜찮다 )
3. 새로운 인지를 통해 행동 잊나 인지를 정당화한다 ( 적당한 담배는 정신건강에 긍정적이다 )
4. 가지고 있는 믿음에 의한 정보를 무시하거나 부정한다. ( 전자담배는 정말 담배가 아니며 좀 더 건강하다 )
인지부조화 연구와 4가지 패러다임
1. 믿음과 불일치 패러다임
부조화는 사람들이 그들의 믿음에 부합하지 않는 정보를 마주하였을 때 느끼는 상태이다. 인지부조화의 초기 단계는 1956년 레 온 패스 팀 거의 책에서 나타난다. 책에선 UFO 착륙에 대해 잘못된 예언이라는 것을 신도들이 깨달을 때 신도들의 변화를 성명한다. 신도들은 정해진 시간에 정해진 장소에서 만났으며, 그들만이 지구의 파괴로부터 살아남을 것이라고 믿는다. 그러나 예언 시간이 되었을 때 아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다. 신도들은 시한 인지 부조화를 겪었다.
2. 유도된 복종 패러다임
레 온 패신 팀 거는 1959년 실험을 진행하였다. 학생들에게 지루한 일을 하도록 부탁하고 이 일은 학생들이 매우 강하게 부정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설계되었다. 실험 전 레 온 패스 팀 거는 몇몇 학생들에게는 이 일을 한 후에 일 자체가 긍정적인 일이라고 인식하라고 지시했다. 또 다른 학생들에게 이 일이 흥미롭다고 다른 실험 학생 등을 설득하라고 지시했다. 아무런 지시를 받지 않는 집단은 보상이 없었다. 연구 결과 1달러 받은 집단이 20달러 답은 학생들보다 훨씬 더 긍정적으로 일에 대하여 평가했다. 그리고 1달러 받은 학생들은 이 일이 재미있다고 다른 학생들을 설득하면서, 지루하다는 것을 더욱 명확히 느꼈고 이 과정에서 인지 부조화를 경험했다고 말했다. 이는 1달러를 받은 집단만이 그 태도를 갖도록 요구받았기 때문이다. 반면 20달러를 받은 학생들은 행동을 외부 정당화했다. 즉 태도에서 비롯된 행동이 아니다. 따라서 1달러를 받은 집단에 비해 인지부조화를 상대적으로 적게 경험하게 되었다.
3. 노력 정당화 패러다임
부조화는 개인들이 목표한 바를 이루기 위해 스스로 원치 않는 행동할 때 발생할 수 있다. 엘리엇 아론 선과 밀 수는 실험에서 실험자들은 2 집단으로 나누어 어떤 단체에 가입하는 것을 지시했고, 그 과정에서 한 집단은 까다로운 가입조건을 겪게 했고, 다른 집단은 좀 더 쉬운 가입조건을 겪게 했다. 까다로운 가입조건을 겪게 된 집단은 이상한 활동을 시지, 이 가입한 단체 자체도 지루하게 설계되었다. 여기서 흥미로운 사실은 이러한 집단이 쉬운 초기 과정을 겪은 집단보다 그룹을 흥미롭게 여겼다는 사실이다. 자신이 큰 노력을 들여 목표를 이루면 그것의 결과에 비해 좋게 평가하는 것이다
4. 자유 선택 패러다임
잭 바람이 한 실험에 나타난 패러다임이다. 그는 자기 제자들에게 가전제품을 평가하게 했고, 두 개의 가전제품 중 하나를 택해 갖게 했다. 그 후 다시 제품에 대해 평가하도록 했다. 참가자들은 자신들이 선택한 것을 좋게 평가했고, 선택하지 않은 것에 대해서는 낮게 평가했다. 이러한 결과는 인지 부조화의 관점에서 설명할 수 있는데, 자신이 선택한 것 외에 다른 것의 장점이 양립할 수 없는 부조화를 일으킨다는 것이다.
'심리학 > 심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용어_ 파블로프의 개 실험(고전적 조건형성 사례_조건형성과 학습 (0) | 2022.09.01 |
---|---|
심리학용어_스탠리 밀그램_밀그램 실험 (복종 실험), 작은 세상 실험 (0) | 2022.08.23 |
심리학 용어 _칵테일 파티 효과 (cocktail party effect) (0) | 2022.08.20 |
심리학 용어_ 루시퍼 이펙트, 루치펠 효과 (스탠퍼드 감옥실험) (0) | 2022.08.19 |
심리학 용어_바넘효과(barnum effect),포러효과(forer effect) (0) | 2022.08.18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