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번쯤 새해 운세, 타로점을 본 적이 있을 것이다. 믿고 싶은 데로 믿는 것이 이들의 특성 아닐까? 이와 관련된 심리 효과가 바넘 효과이다. 바넘 효과는 대부분의 사람이 가지고 있는 심리나 성격을 자신만의 특성으로 여기는 성향이다. 이 효과는 종교와 점성술 판단, 그리고 어떤 유형의 성격검사와 같은 어떤 신념과 실천의 광범위한 수용에 대하여 부분적인 설명을 제공할 수 있다.
바넘 효과라는 영화 위대한 쇼맨의 주인공의 실존인물 바넘(P.T.Barnum)의 이름에서 유래했다. 말은 미국의 유명한 사기꾼이자 서커스 단원이었던 바넘은 그의 쇼에서 원숭이 머리와 물고기 꼬리를 교묘히 이어 붙여 피지 인어라고 사람들을 속이고, 4살짜리 어린애를 세상에서 가장 작은 어른이라고 사람들을 속이기도 했다. 바넘은 화술의 달인이었다. 그가 두루뭉술하게 이야기하여도 듣고 있던 사람들은 어! 맞아! 바로 내 이야기인 걸? 하면서 그의 말에 확신을 가져 주었고, 바넘의 쇼는 더 흥행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일화로 믿고 싶은 대로 믿는 것을 바넘 효과라고 불리기도 하는 까닭이다. 하지만 그의 행적은 확인이 불가능하고 이러한 효과와는 상관이 없고 폴 밀(Paul E. Meehl)이 그의 학생들에게 성격 검사를 진행하였고 이를 증명한 포로의 이름을 따서 '포러 효과(Forer Effect)'라고 불리기도 한다.
포러의 실험 증명
연구의 반복 가능성을 보증하는 데는 두 가지 요소가 중요하다. 내용이 특정평가에 대한 긍정에서 부정까지의 비율로 된 분명한 강조를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중요한 다른 요소는 실험자들이 의견을 제시하는 사람이 정직과 주관적인 평가에 기초하는 의견을 그들에게 주고 있음을 신뢰하는 것이다.
*당신은 다른 사람들이 당신을 좋아하고 존경하기를 바라는 큰 욕구를 갖고 있다. 당신은 자신에게 비판적인 경향이 있다. 당신은 당신에게 득이 되지 않는 상당량의 전혀 사용되지 않은 능력을 갖고 있다. 당신은 다소의 성격적 결함을 갖고 있는 반면, 일반적으로 그것들을 상쇄할 수 있다. 당신은 성적 조절에 있어서 문제를 갖고 있다. 외면적으로는 규칙을 따르며 자제심 있는 당신은 내면적으로는 걱정하며 불안해하는 경향이 있다. 가끔 당신은 당신이 옳은 결정을 내렸는지 또는 옳은 것을 했는지에 대해 심각한 의심을 품게 된다. 당신은 어느 정도의 변화와 다양성을 선호하며 구속과 규제로 갇히게 되면 불만스러울 것이다. 당신은 자신이 독립적인 자유로운 사고를 지닌 사람임을 자랑스러워하며 납득할 만한 증거가 없는 다른 사람의 말은 받아들이지 않는다. 당신은 너무 솔직하게 당신을 다른 사람에게 드러내는 것은 어리석은 짓이라고 생각한다. 때로는 당신은 외향적이고 친절하며 사교적이지만, 때로는 당신은 내향적이고 경계하며 내성적이다. 당신의 염원들 중 일부는 매우 비현실적인 경향이 있다. 안전은 당신의 삶에 있어서 주요한 목표들 가운데 하나이다 "-포러의 실험 증명 일부
문장이 애매할수록 효과는 더 안정된다. 사람들은 이런 문장들의 의미가 자신의 이야기라고 해석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이 내용은 사람들에게 '개인적인 것' 이 된다. 가장 효과적인 문장들은 "가끔"의 어구가 듬성듬성 들어가 있다. "가끔 당신은 매우 자신감 있다고 느끼며, 때로는 확신이 없다." 이러한 어구는 대부분 누구에게나 적용할 수 있으며, 따라서 사람들은 각자가 그 문장들의 의미가 자신에게 적용된다고 해석할 수 있다. 문장들의 애매함이 유지된다면, 포러 효과의 반복 연구에 있어서 높은 신뢰도를 보장할 수 있다.
효과에 영향을 주는 변수
포러 효과가 겉으로 보편적임을 나타내는 연구들이 있다. 그것은 많은 다른 문화권들이나 지리적으로 다른 사람들에게서도 발견된다. 인종, 지역, 문화의 차이에 따라 포러 효과의 차이가 있는 비교하는 여러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 어떤 중요한 차이점도 발견할 수 없었다.
-실험자가 진행되는 연구는 오직 실험자 자신에게만 적용된 것임을 믿고, 그들 스스로 해석을 문장에 적용하게 된다.
-실험자가 평가자의 권위를 신뢰한다
-실험에 사용되는 문장들은 주로 긍정적인 것들이다.
성별은 실험자가 실험에 관한 질문에 대해 정확하다고 믿을 확률을 결정한다고 증명되어 오고 있다. 여성이 남성보다 애매한 문장에 대해 정확하다고 믿을 가능성이 더 높다. 바넘의 성격 평에서 사용된 어법 또한 사람들이 자신들의 것이라고 받아들이는 정도에 영향을 미친다. 예로 바넘의 단평에 특정 개인의 이름이 포함되어 더 개인화되었다면 누구에게나 적용될 수 있는 것보다 더 높은 정확성 점수를 받을 가능성이 크다.
바넘 효과와 관련된 최근 연구
자기 교양적 편향: 자기 고양적 편향이 포러 효과를 상쇄한다고 보고되어 오고 있다. 이에 따르면 실험자들은 그들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수용하는 반면, 부정적인 태도는 거부한다. 한 연구에서 실험자들에게 세 개의 성격 보고서 가운데 하나가 주어졌다. 하나는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성격적 특징들이 기술된 바넘 단평이었고, 다른 하나는 완전히 부정적인 특징들이 포함된 단평이었다. 마지막 하나는 앞의 두 가지가 적절히 혼합된 논평이었다.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것과 혼합된 것을 받은 실험자들은 전자의 두 가지와 중요한 차이점은 없다고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부정적인 것을 받은 실험자들보다 더 동의하는 모습을 보였다
초자연적 현상에 대한 믿음: 초자연적인 현상을 믿는 것이 이 효과의 더 큰 영향력을 행사한다는 증거가 있다. 예를 들어 마술의 힘에 대한 믿음과 영혼의 영향력에 대한 믿음이 포함된다. 정신 분열성 향과 호러에 대한 믿음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들은 높은 상관성을 보여오고 있다.
'심리학 > 심리학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심리학 용어_ 파블로프의 개 실험(고전적 조건형성 사례_조건형성과 학습 (0) | 2022.09.01 |
---|---|
심리학용어_스탠리 밀그램_밀그램 실험 (복종 실험), 작은 세상 실험 (0) | 2022.08.23 |
심리학 용어 _칵테일 파티 효과 (cocktail party effect) (0) | 2022.08.20 |
심리학 용어_ 루시퍼 이펙트, 루치펠 효과 (스탠퍼드 감옥실험) (0) | 2022.08.19 |
심리학 용어_인지 부조화 (0) | 2022.08.18 |
댓글